"유상증자 이해하기 시리즈 2편"으로, 유상증자의 발행가액을 계산하기 위한 공시와 신주의 인수 가격인 발행가격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발행가액의 구성요소와 계산 방법을 예시 및 엑셀을 통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발행가액을 계산 가능한 엑셀 파일을 첨부합니다.)
1. 유상증자 발행가액 계산을 위한 공시 및 순서
주식회사의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와 투자자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이기 때문에 여러 차례 공시가 올라오게 됩니다. 유상증자 발행가액을 계산 및 확인하기 위한 공시는 3가지 입니다. (1) 유상증자 결정, (2) 1차 발행가액 결정 및 (3) 최종 발행가액 결정 입니다. (1) 유상증자 결정 공시는 보고서명 그대로 유상증자 결정을 투자자들에게 알리며 자금 조달 목적 및 청약일정 등에 관해 설명합니다. (2) 1차 발행가액 결정 공시는 유상증자 결정 공시 이후 충분한 기간(1개월) 동안의 평균 주가를 통해 먼저 산정됩니다. 그리고 청약시점이 다가오면 (3) 최종 발행가액 결정 공시를 통해 2차와 확정 발행가액이 동시에 산정된 후, 1차 발행가액과 비교하여 규정에 따라 1개의 발행가액으로 최종 발행가액을 공시합니다.
<유상증자 발행가액 관련 공시 및 중요 내용>
(1) 유상증자 결정 : 증자 방식, 자금 조달의 목적, 각종 기준일 및 할인율 등
(2) 1차 발행가액 결정 : 1차 발행가액
(3) 최종 발행가액 결정 : 확정 발행가액
유상증자 공시 검색 방법 Tip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유상증자 관련 공시를 쉽게 찾기 위해서는 공시 유형을 선택하여 검색하면 편리합니다. 앞선 유상증자 관련 공시는 주요 사항 보고(주요 사항 보고서)와 거래소 공시(수시 공시)로 구분됩니다. 아래 예시 이미지를 참고하여 공시유형을 선택 후 검색하세요. 그리고 검색 결과에서 화면 내 검색(단축키 컨트롤+F)으로 유상증자를 입력하시면 편리하게 유상증자 관련 공시만 찾을 수 있습니다.
<편리한 유상증자 공시 검색을 위한 Tip 3가지>
1) 주요 사항 보고의 주요 사항 보고서 : 유상증자 결정 공시 검색용
2) 거래소 공시의 수시공시 : 발행가액 결정 및 증권신고서 공시 검색용
3) 최종보고서는 체크 제외 : 정정 전 보고서까지 포함하여 순서대로 검색하는 것이 이해하는 데 용이함
2. 유상증자 발행가액의 이해
지금부터는 발행가액 산식과 구성요소를 설명하겠습니다. 앞선 공시에서 보다시피 발행가액은 1차, 2차 및 확정 발행가액으로 총 3가지 발행가액이 있습니다. 이 3가지 발행가격 중에서 「(구) 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1가지가 최종 선택됩니다. 그리고 각 발행가액은 기준주가, 할인율 및 증자비율을 구성요소로 계산됩니다. 우선 발행가액 산정(계산)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발행가액의 구성 요소인 기준주가와 할인율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 발행가액의 산식과 의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래소에서는 「유가증권 발행 규정 제57조」을 제정하여 합리적으로 발행가액을 산출하려 한 것 같습니다. 확정 발행가액 계산식을 해석해보자면 "유상증자 결정 당시 평균 주가에서 할인은 해주되, 청약일에 주가가 급등한다면 급등한 주가의 40% 이상을 할인해줄 수 없다."라고 이해 가능합니다. 각 발행가액의 계산식은 중요사항 보고(유상증자 결정) 공시에서 확인 가능하며,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x (1-할인율)] / [1+(증자비율 x 할인율)]
2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x (1-할인율)
확정 발행가액 = Max {Min [1차 발행가액, 2차 발행가액], 청약일 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 주가의 60%
나. 발행가액 구성요소 : 기준주가
발행가액은 기본적으로 기준주가와 할인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준주가는 유상증자 결정 공시 이후 일정 기간 동안의 가중산술평균 주가로 결정됩니다. 1차 발행가액은 1개월과 1주일 그리고 최근 일의 가중산술평균 주가로, 2차 발행가액은 1주일 및 최근 일의 가중산술평균 주가로 결정됩니다. 가중산술평균 주가는 일일 시가, 종가, 고가, 저가의 평균 가격이 아닌, 일일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나누어 계산된 평균 주가로 결정됩니다. 기준 가격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을 원하신다면 아래 공시문 발췌 내용을 참조해주시고, 계산을 해보시길 원하신다면 이 글 하단에 첨부된 엑셀 파일 중 예시 시트의 가중산술평균 주가 산식을 참고해주세요.
<기준주가 계산 방법>
기준주가는 시가, 고가, 저가 및 종가 등의 단순 주가의 평균값이 아닌,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나눈 주가를 가중 평균하여 사용함(계산 예시가 궁금하시다면 첨부된 엑셀 파일을 참조해주세요)
다. 발행가액 구성요소 : 할인율
할인이라는 용어 뜻처럼 할인율이 높을수록(할인을 많이 할수록) 발행가액이 저렴해지니 신규 투자자들에게는 유리합니다. 하지만 할인율이 높을수록 다양한 사유로 인해 청약률에 자신감이 없다는 뜻일 수도 있으니, 할인율에 대한 해석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최근 대한항공의 유상증자에서는 25%를 할인해주었고, 제 짧은 경험상 할인율은 보통 20% 이상이었습니다.) 할인율은 유상증자 결정 시 맨 처음에 나오는 주요 사항 보고서(유상증자 결정)에서 할인율을 검색하여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할인율에 관한 Tip.>
1) 할인율은 유상증자 결정 시 맨 처음에 나오는 유상증자 결정 공시에서 쉽게 확인 가능함.
2) 할인율이 높으면 투자자에게 유리하나, 그만큼 기업이 유상증자 청약 인기에 자신 없다는 뜻일 수도 있으니 투자자 본인의 해석과 판단이 필요함.
3. 유상증자 발행가액 산정 방법과 전략
기준주가와 할인율 등 발행가액 구성 요소들을 이해하셨다면, 이제 발행가액을 계산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 제공하는 엑셀 파일의 산식을 하나하나 따라가면 1차, 2차 및 확정 발행가액 각각 계산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유상증자 참여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점은 이미 1차 발행가액이 결정되어 있는 청약 시점 부근이 많습니다. 따라서 굳이 복잡하게 1개월 기준주가가 필요한 1차 발행가액을 직접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2차 발행가액과 확정 발행가액을 대략 예상해 보고, 신주인수권 가격과 비교해 보며 참여 여부를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2차 발행가액과 확정 발행가액
엑셀 파일 3번째 시트를 참고하세요.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예정발행가는 앞서 설명한 1차 발행가액을 입력합니다. 그다음 B열 8행부터 청약시점으로부터 5 거래일 주가를 대략 예상하여 입력하면 2차 발행가액이 계산되며, 즉시 확정 발행가액이 함께 계산됩니다. 19행 이하 산식은 신주인수권 투자에 관해 고민했던 흔적입니다. 확정 발행가액에 신주인수권 가격을 더한 주가와 현재 주가를 비교하여 참여 여부를 고민한 적이 있습니다.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유상증자는 일반적으로 악재로 작용하여 투자자들이 뒤늦게 발행가액 및 일정을 찾아보게 됩니다. 저 역시 과거 유상증자를 맞고 뒤늦게 찾아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유상증자 시 발행가액이 결정되는 과정이 궁금하여 찾아보신 구독자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유상증자 발행가액 관련 공시 찾기, 발행가액 계산 방법 및 엑셀 파일 첨부 글을 마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2.06.14 - [금융] - 유상증자란? 악재인 이유 및 호재가 되는 경우
2022.06.07 - [분류 전체보기] - 재무제표 보는 법 1편 "이것부터 본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란? 3편. 언제까지 보유해야? 신주배정기준일 설명 (0) | 2022.06.19 |
---|---|
유상증자란? 악재인 이유 및 호재가 되는 경우 (0) | 2022.06.14 |
노칭공정(Notching)이란? 2차전지 노칭공정 기업 (0) | 2022.06.13 |
스태그플레이션 투자 전략 : 안전자산 (0) | 2022.06.12 |
엔화 투자 방법 : 2배 레버리지 ETF (0) | 2022.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