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엔화 투자 방법 : 2배 레버리지 ETF

by 떠리버스 2022. 6. 8.

(투자를 권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공유 글입니다.)

유례없는 엔화 약세로 엔 투자에 관심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엔화 약세의 이유와 엔화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엔화 약세 이유 : 미국-일 금리차 + 미국의 인플레이션
  2. 엔화 투자 방법 : 국내 ETF, 미국 ETF

 

엔화란?

일본의 공식 통화인 엔화는
외환 시장에서 미 달러, 유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거래되는 통화이며, 준비통화 중 세 번째 규모를 차지합니다.
강달러와 금리 차이로 인해 달러 대비 엔화의 가치는 20년 만에 최저치인 134엔/달러에 도달했습니다.
유례없는 약세로 엔화 투자 방법에 대해 찾아보았고, 그나마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달러 대비 엔화가 최저치를 기록 중

 

 

 

엔화 약세 이유 : 3가지

 

  1. 미국의 양적 긴축(유로화의 양적 완화 유지) → 미국 달러 강세(=엔화의 상대적 약세)
    드디어 6월부터 미국 중앙은행(Fed)이 양적 긴축(QT)을 시작했습니다. 2022년 4월 기준 8.94조 달러인 Fed 보유자산이 양적 긴축으로 연내 5200억 달러(640조 원)를 회수하게 되고, 이는 금리를 25bp(0.25% P) 인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게다가 5월 비농업 부문 고용 호조를 나타내어, 시장에서는 FED 추가 금리 상승 여력으로 평가를 했습니다.


  2. 일본의 제로 금리 고수 → 엔화 약세
    6월 7일 구로다 일본 은행 총재가 통화긴축을 고려하지 않겠다고 재확인하였습니다. 일본은행에서는 저물가와 국채이자 부담으로 엔저를 용인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올 1분기 경제 성장률이 -0.2% 일 정도로 경기침체가 이어져 섣불리 금리를 올리는 것은 무리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3. (개인적인 의견) 미국의 인플레이션  → 미국 달러 강세로 수입물가 잡기
    미국에서는 현재 가장 중요한 이슈가 "인플레이션"입니다. 6월 7일 엘런 재무장관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하였고, 하반기 선거를 앞둔 바이든 대통령이 물가가 신경 쓰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미국이 강달러로 수입물가를 잡는 데 도움이 된다면, 미국 정부가 강달러를 유지하는 것이 충분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엔화 투자 방법 : 2가지


엔화 투자 방법을 찾아보니 생각보다 많지 않았습니다.
직접적인 엔화 매수는 변동폭이 작고, 선물옵션 투자는 높은 리스크와 소액 투자자에게는 진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찾아본 엔화 투자 방법 2가지는 국내 ETF와 미국 ETF입니다.

  1. 국내 ETF : TIGER일본엔선물(레버리지 없음)
    국내 엔선물 지수를 기초로 하는 상품입니다. 즉 엔화-원화를 기초로 합니다. 이 점이 조금 아쉬울 수 있습니다. 달러와 달러 외 통화의 가치 차이에 투자하고 싶은 상황이라면 엔화-원화 투자는 조금 아쉬운 선택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레버리지도 없고요. 엔화 투자 방법을 좀 더 찾아보아서 발견한 것이 바로

  2. 미국 ETF : YCL(2X 레버리지)
    ETF 투자에 관심 많으신 분이라면 들어봤을 Proshares사의 YCL입니다. YCL은 미 달러화 대비 엔화 강세에 투자합니다.(반대로 엔화 가치 하락에 베팅하신다면 YCS가 있습니다.) 이 ETF는 2배 레버리지로 운영됩니다. 엔화의 강세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시는 분이라면 관심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재 이용하시는 증권사에서 해외주식으로 사야 하는 만큼 현재 해외주식 계좌에 달러 현금이 없으시다면 높은 환율로 미국 달러를 매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 전 주의사항으로는 ETF의 상장 폐지 규정들을 알아보셔야 합니다. 기초지수를 못 쫓아가는 가격에 도달하면 상장 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니켈 관련 ETF가 상폐된 적이 있었죠. 원자재와 달리 외환이라 심각한 변동은 없겠지만, 사전에 상장 폐지에 관해 알아보시고 투자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ETF를 통한 엔화 투자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원화 대비 엔화가 저평가됐다고 판단하면 국내 ETF인 TIGER일본엔선물이 있습니다.

미국의 긴축정책의 충분한 반영과 일본의 현 통화완화 정책의 종료 시점쯤 달러 대비 엔화에 레버리지로 투자하고 싶으시다면 미국 ETF YCL가 있겠습니다.

이상 엔화 투자하는 방법 2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엔화에 투자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계셨다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