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스태그플레이션 투자 전략 : 안전자산

by 떠리버스 2022. 6. 12.

스태그플레이션 투자 전략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세계은행은 세계 경제 성장률을 4.1%에서 2.9%로 하향하면서 50년 전 오일쇼크 때와 닮았다는 보고와 함께 오일쇼크 이후 최대의 세계 경제를 압박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정의와 유효한 투자 전략이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성장률이 낮은 대에도 물가가 치솟는 경제 상황을 이야기합니다. 정체라는 뜻의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인데요. 즉 인플레이션 상황임에도 경기 침체가 오는 것을 뜻 합니다. 이때 일반적인 경우 물가가 오르면 경기가 살아나는 거 아니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물가가 오르는 이유를 두 가지로 나누어서 구분하셔야 합니다.

  1. 수요가 많아서 올라가는 경우(일반적인 경우)
  2. 공급 측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스태그플레이션)
  3. 공급망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로는 현재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전 세계 식량과 에너지 공급 불안과, 중국 상하이에서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올 스톱된 상황이 주요한 원인 2가지로 꼽힙니다.

스태그플레이션 그래프 출처. KBS

 

스태그플레이션의 문제점

중앙은행의 대응 방안이 없습니다. 일반적인 경기 침체 상황에서는 유동성 공급으로 수요를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다릅니다.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유동성을 공급하고 싶은데 고물가인 상황에서 함부로 유동성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기업들의 경제 활동이 어려워집니다. 기업의 생산 계획 세우기도 어렵게 만듭니다. 원활하지 않은 원자재 공급과 불안정한 원자재 가격 등으로 생산 계획을 불안정하게 합니다. 그리고 계속 올라가는 물가에 수요시장의 구매력도 떨어지게 되어 힘든 경제 활동 상황을 겪게 됩니다.
더 큰 문제는 스태그플레이션이 10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세계은행의 경고와 우리나라 연기금의 -2%의 1분기 수익률로 국내 주식 투자 비중 계속 낮추겠다는 보도 등 투자자들에게도 어려운 투자 상황이 예상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해결을 위한 정부의 대응

앞서 말했던 것처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부의 재정정책이라도 실효가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텐데요. 정부의 정책 방향으로는 IMF에서 시장 가격 인하 정책 보단 취약층 보호 정책을 당부하였고 OECD 역시 취약층 맞춤 지원과 격차 해소를 당부했습니다. 향후 정부 정책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의 투자 전략

그렇다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어떤 투자 전략이 가장 유리할까요.

금 시세 출처. trandingeconomics

첫 번째 투자 전략으로 안전 자산인 금 투자에 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금은 1970년대 오일쇼크 때를 교훈 삼아 인플레이션 헤지(hedge:위험회피) 상품으로 가장 유명한 투자방법입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현금가치의 하락에 자산의 가치를 보전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투자 방법 이기 때문인데요. 1970년대 당시 1온즈당 30불이었던 금 가격은 80년대 800불까지 올랐었습니다.

엔화 가치 출처.Trandingeconomics

두 번째 투자 전략으로는 상대적으로 경제 위기에 안전한 선진국 통화인 엔화 투자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경제 침체기에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대표적인 안전자산 통화로는 엔화가 있습니다. 일본은 해외투자국이면서 인플레이션을 겪지 못했던 나라입니다. 이번 물가 상승기에도 1.2%의 낮은 물가 상승으로 아직까지 제로금리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요. 일본 중앙은행이 제로금리를 포기하는 시점 전에 진입하여 금리 인상기에 엔화 가치 상승을 노려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엔화 투자 방법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엔화 투자 방법 : 2배 레버리지 ETF

(투자를 권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공유 글입니다.) 유례없는 엔화 약세로 엔 투자에 관심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엔화 약세의 이유와 엔화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엔화 약세

corkmasanant.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스태크플레이션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 상황이 어려워지는 만큼 주식, 채권과 같은 위험자산보다는 금과 엔화와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구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본 투자 방법은 개인적인 의견인 만큼 참고 자료로서만 활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