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는 주식 투자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유상증자에 관해 준비한 1편으로는 유상증자의 목적 및 방식과 악재/호재가 되는 이유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발행가액을 산정하는 방법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란?
유상증자의 개요
주식회사가 주식을 추가 상장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보통은 악재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자금 조달 목적에 따라 악재가 아닐 수 있습니다. 자금 조달 목적은 돈이 없어서 하는 경우와 돈이 필요한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방식에는 일반공모, 주주배정 및 3자 배정 방식이 있습니다.
유상증자의 목적
유상증자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채무 상환 비용 조달 및 운영 자금 조달과 같이 자금 조달 목적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앞선 예와 같이 단순 자금 조달 목적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기존 주주들에게 부정적입니다. 하지만 설비 증설, 투자 확대, 신규사업 및 타기업 지분 인수 목적과 같이 긍정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 채무 상환 비용 조달 및 운영자금 조달
- 설비 증설, 투자 확대 및 지분 인수
유상증자의 방식
유상증자 방식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주주배정, 일반공모, 제 3자 배정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주배정과 일반공모는 악재로 작용하지만, 제 3자 배정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 투자자들(제 3자)이 대규모 자금으로 투자를 하는 것은 그만큼 현재 이 기업이 미래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호재로 인식하게 됩니다.
- 주주 배정 : 주주를 대상으로 주식을 발행
- 일반 공모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주식을 발행
- 제 3자 배정 : 특정인이나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주식을 발행
유상증자가 악재가 되는 이유
악재가 되는 이유는 2가지입니다. 첫 번째, 주식수가 많아져서 지분율이 희석됩니다. 즉, 증가한 주식수만큼 나의 의결권이 상대적으로 축소됩니다. 두 번째, 주당수익률(EPS)이 낮아지게 됩니다. EPS는 연간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때 주식수가 늘어난 만큼 주당순이익이 줄어들어 악재로 작용합니다.
- 보유 주식의 지분율 희석
- 주당수익률(EPS)의 감소
유상증자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설명과는 다르게, 유상증자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첫 번째, 재무구조가 확연하게 개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상증자 시 기업의 재무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비율 중 하나인 부채비율이 개선됩니다. 유상증자로 자본총계가 늘어나는 만큼 부채비율이 낮아져서 재무구조 자체가 개선됩니다. 두 번째, 전문 투자자의 투자는 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선 제 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의 예와 같습니다. 세 번째, 미래 지향적인 사업 또는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과 같이 미래가치가 높은 사업 영역 투자를 위한 목적으로 유상증자 시, 시장에서는 호재로 작용합니다.
- 재무구조의 확연한 개선
- 전문 투자자의 투자
- 미래가치가 높은 사업영역 확대
맺음말
투자한 기업이 유상증자 결정 공시를 하게 되면 그때부터 유상증자에 관해 관심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기업이 단순히 채무 상환 목적으로 유상증자를 한 경우라면 유상증자를 참여할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채무 상환 목적이 아닌 성과가 가시적인 사업 자금 마련 용도나 전방 산업의 호조로 인한 공장 증설과 같은 목적이라면, 기업 성장 가능성에 베팅하기 위해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2.06.14 - [금융] - 유상증자란? 2편. 발행가액 계산법(엑셀 공유)
2022.06.19 - [금융] - 유상증자란? 3편. 언제까지 보유해야? 신주배정기준일 설명
2022.06.26 - [금융] - 무상증자란? 무상증자 일정, 권리락 일, 무상증자 후 주가, 공시 읽는 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증자란? 무상증자 일정, 권리락 일, 무상증자 후 주가, 공시 읽는 법 (0) | 2022.06.26 |
---|---|
유상증자란? 3편. 언제까지 보유해야? 신주배정기준일 설명 (0) | 2022.06.19 |
유상증자란? 2편. 발행가액 계산법(엑셀 공유) (1) | 2022.06.14 |
노칭공정(Notching)이란? 2차전지 노칭공정 기업 (0) | 2022.06.13 |
스태그플레이션 투자 전략 : 안전자산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