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알엔투테크놀로지(148250) / 2차전지 보호소자, 미중분쟁, 5G 관련주

by 떠리버스 2022. 1. 27.

요약

 시가총액 : 875억원, 11,450원

 재무추이 : 부채율 66% 유보율 1,000%

 사업내용 : LTCC(저온동시소성세라믹) 소재 기술 기반으로 무선통신 장비용 부품과 CMOS 센서 패키징 기판, 2차전지용 배터리 보호소자, 그리고 무선통신 필터 소재용 LTCC Powder를 생산

 매출구성 : MLC 51%, MCP 32%, 원재료 16%(2021년 3분기 자료 기준)

 주요재료 : 2차전지 보호회로 시장 확대에 따른, M/S와 CAPA 확보가 아닐까 추측(이에 대한 분석 필요)

 차트수급 : RSI 30 도달

 자본현황 : 이효종 대표 등 20% 보유. 리픽싱조항 없는 사채 발행

 

 RIM 가격

  ① bear : 할인율 9% ROE 10% = 시총 5백억원 수준

  ② bull : 할인율 7.5%, ROE 20% = 시총 8백억원~12백억원

 

 

 

사업내용

 

(가) 무선통신 장비용 부품

미국의 Z사, 일본의 X사 등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경쟁사가 없습니다.

 

(나) 2차 전지용 배터리 보호소자(Resistor Embedded Protector)

과전류와 과전압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부품으로 2차 전지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에 장착됨.

배터리 보호소자의 응용분야는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시장이 형성된지 오래된 노트북 등의 응용분야는 물론, 가전 제품, 전동 공구, 개인 이송 수단 등 신흥 High Power 응용분야를 타겟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업계의 현황 및 분석 - 2021년 3분기 보고서 참조

(1) 무선통신 장비

무선통신 장비 시장의 5대 Major 업체는 Huawei, Ericsson, Nokia, ZTE, 삼성전자이며, Huawei(31.7%), Ericsson(29.2%), Nokia(18.7%), ZTE(11%), 삼성전자(7.2%) 5사가 전체 시장의 97.8%를 점유(2020년 5G 장비 시장 점유율, 델오로)하고 있습니다.

(2) 2차 전지 보호회로

2차 전지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배터리 보호소자의 채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배터리 보호소자 산업은 2018년 1,483억원시장규모에서 2025년 9,530억원 시장규모로 연평균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Global LIB 자료를 당사에서 재작성)

(3) X-ray Detector

 X-ray Detector는 크게 TFT 방식과 CMOS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X-ray Detector 시장은 2014년 약20억 달러에서 2019년 2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TFT 방식이 시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4) LTCC 소재

 글로벌 유전성 세라믹 소재 시장은 2015년 약44억 달러 규모에서 2021년 53억 달러규모로 연평균 3.4%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LTCC 소재에서는 저유전율LTCC 소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개발비의 세부내역 - 2021년 3분기 보고서 참조

*2) 회사는 세라믹 기반의 고 방열 회로기판 개발을 위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와이드 밴드 갭 전력 반도체 소자인 GaN 와 이를 수납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금속 방열 구조가 삽입된 고 방열 LTCC 회로 기판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력 반도체용 GaN 소자의 성능검증을 완료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ETRI 특허의 기술 실시권(2종) 이전에 대한 계약을 완료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개발의 결과는 Coupler 군, F/S 등의 방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17년 중 개발이 완료되어 관련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3) 회사는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차보호소자용 부품인 REP(Resistor Embeded Protector) 제조 신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로드뷰는 동탄 본사와 강릉 2공장을 찾아보길 바란다.

 

재무추이

 

 

차트

 

 

수급

주주 자본금

 

임원진현황

 

 

 

뉴스

2021/04/01 11:18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알엔투테크놀로지 인포스탁

신규 거래처 확보 전망 등에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코로나19 글로벌 확산 여파 속에서도 군계일학의 실적을 기록했으며, 글로벌 통신장비 회사 대부분 주요 거래처로 확보했고 올해는 신규 거래처 추가가 예상된다고 전망. 특히, 글로벌 통신장비 회사들의 M/S 경쟁 치열해 질수록 동사의 소재/부품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올해는 전장 부품/2차전지 보호회로 등 매출처 다변화가 예상된다고 설명.

 

2021/01/22 09:02 알엔투테크놀로지 "200억 원 규모 BW 발행…5G 소재·부품 등 사업 성장성 인정받아" 알엔투테크놀로지 아시아경제

BW 발행에 참여한 안다자산운용과 씨스퀘어자산운용은 알엔투테크놀로지에만 벌써 3번째 투자를 진행하게 됐다. 2개 업체는 2017년 60억원 규모의 2회차 전환사채를 시작으로 2019년 100억 원 규모의 자금조달에도 참여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자금조달은 조건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면이 많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전환사채 제로금리 형태인 데다가 리픽싱도 포함되지 않았다. 10% 할증된 행사가액(2만3008원) 및 10% 콜옵션 조건도 들어가 있다. 최근 할증이 붙는 경우도 드문 데다가, 할증이 붙더라도 리픽싱이 없는 사례는 흔치 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0/08/12 14:46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알엔투테크놀로지 인포스탁

2분기 호실적에 강세

▷반기보고서를 통해 실적 발표. 20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97.68억원(전년동기대비 +51.61%), 영업이익 40.03억원(전년동기대비 +142.47%), 순이익 36.59억원(전년동기대비 +164.16%).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신규 고객 및 중국 5G 투자에 힘입어 분기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올해 사업목표 달성은 물론 추가 신규 고객 확보와 신규 아이템 론칭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고 5G 투자가 전세계적으로 확대되는 내년에는 더 큰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언급.

 

 

 

■ 리포트

메리츠증권 2021.09.24

글로벌 5G 투자 확대와 배터리 보호소자 부문 적용 어플리케이션 확대 수혜 예상

2021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312억원(+30.6% YoY), 65억원(+58.4% YoY) 전망

비용 대부분이 고정비로 매출 성장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가능

국내외 통신사들의 5G 투자 확대와, 삼성전자 및 중국 메이저 고객사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개선될 전망.

Ericsson 신규 업체 등록으로 글로벌 5대 메이저 장비 업체에 모두 부품을 공급하는 점도 강점이다.

 

배터리 보호소자 부문은 적용 어플리케이션의 확대가 기대된다. 동사는 작년 9월 국내 메이저 완성차 부품사의 공급 업체로 등록됐으며, 차량간 통신에서 안테나 수신강도를 높이는 용도로 Coupler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 

동사의 배터리 보호소자는 지금까지 가전 제품 위주로 활용됐으나, 적용 어플리케이션이 확대될 경우 실적 기여는 물론 밸류에이션 리레이팅까지 가능할 전망이다.

 

 

2021/04/01 08:43 알엔투테크놀로지, 전장 부품·2차전지 보호회로 등 매출처 다변화-SK증권 알엔투테크놀로지 파이낸셜

 5G 통신서비스의 상용화를 앞두고 글로벌 통신장비 기업들의 M/S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알엔투테크놀로지는 우리나라 및 중화권 업체를 비롯해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향 매출이 고르게 발생함에 따라 한 쪽에 치우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실적 변동 리스크를 줄일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미중 갈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소재·부품 기업들의 반사 수혜는 조금 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2020/05/22 09:04 '알엔투테크놀로지' 52주 신고가 경신, 중국 5G 시장 진입의 원년 - KTB투자증권 한국경제

- 중국 5G 시장 진입의 원년 - 
"중국은 COVID-19에 따른 소비위축 대책으로 3월 13일 5G 인프라 투자 확대 방안을 발표. 연초 목표였던 연내 기지국 40만대 설치 계획을 60만대로 확대하였으며, 기지국/중계기 설치가 2분기 재개 중. 또한 동사는 5G 투자 증가의 선제적 대응으로 추가 증설을 위한 100억원 규모 재원 확보 완료. 추가 증설 시, 동사 Capa는 연간 650억원 규모로 확대 전망(현재 450억/연)."이라고 분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500원'을 제시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