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펄어비스 / 검은사막, 붉은사막, 도깨비(DOKEV, 메타버스), 중국 게임 판호

by 떠리버스 2021. 8. 27.

요약 : 검은사막 이후 붉은사막과 도깨비로 매출 트리플 점프 예상 중인 대형 게임주 

 ▷시가총액 : 5조 8천억원 VS 매출 4천억원 + PER 57

 ▷차트수급 : 연기금(7만원대)+사모펀드(83천원) VS 공매도 1위(8.26기준)

 자본현황 : 창업주 김대일 의장 35%

 ▷재무추이 : 부채율 41% + 유보율 10,619% VS 2021년 이익 감소(검은사막 모바일 자연감소 + 일시적 인건비 증가)

 ▷매출구성 : 검은사막 80%(모바일>PC>콘솔 순 BUT 모바일 감소로 PC가 비중 상승 예상)

 ▷주요재료 :

  1) 22년 붉은사막 런칭시 매출 8천억원(2배) + 23년 도깨비 런칭시 매출 1조원(3배) ; 이베스트 예상 ; PER57 이해 가능

  2) 올해(몇월인지 확인 필요)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 진출 + 검은사막 PC 판호 획득 ; 이베스트 예상

홈페이지

 

차트

 (장점) 거래대금 7조원 ㄷㄷ

 (단점) 고점...

역사적 고점에 도전한다!

재무추이

 (장점) 부채율 41% + 유보율 10,619%

 (단점) 2021년 올해 매출 감소 예상; 자세한 건 아래 리포트 참조

ROE 28%!!
연결기준, 영업이익 71억원으로 급감

 

S-RIM : ROE 30% 가정
S-RIM : ROE 80% 가정!

 

수급 : 연기금과 사모펀드 수급! VS ROE 80% 돼야 10만원 넘어가는데… 검은사막 + 붉은사막 + 도깨비 3개로 트리플 점프 때문에 들어오는건가

 

 

 

 

 ▶거래원

거래대금이 7조원이니.. 다양하게 들어온 거래원

 

 

 ▶공매도

26일 공매도 1위 종목!!

 

 

 

주주 자본금

안양~!
창업주가 35% 보유

 

임원진현황 : 김대일 의장님이 최대주주

 

 

 

 

 

사업내용 : 2021년 반기보고서 참조

 

  게임시장 규모를 알아보자.

국내 게임시장의 규모 2020 17조원

모바일이 단연 1!

국내 게임 시장 규모. 반기보고서 참조

 

세계 게임시장의 규모 2020 240조원

모바일 > 콘솔 > PC > 아케이드

세계 게임 시장 규모. 반기보고서 참조

 

  온라인게임의 과금 정책 알아보자.

크게 패키지 판매, 정액제, 정량제, 부분유료화 (아이템유료화) 방식이 있습니다.

1) 패키지 판매는 게임 플레이를 위해 비용을 지불하고 다운로드를 하거나 CD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2) 정액제는 매월 일정 금액을 사용료로 지급하는 방식이며,

3) 정량제는 1시간당 일정 금액을 사용료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4) 부분유료화(아이템유료화) 게임 플레이 자체는 무료이지만 유저들보다 더욱 빠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기능성 아이템이나 캐릭터의 차별을 있는 커스터마이징 아이템 등을 판매하는 방식

대부분 부분 유료화. 반기보고서 참조

 

매출 대부분은 검은사막!

 

 

  검은 사막에 관해 알아보자

직접서비스로 전환!

 

'검은사막'은 한국 OBT시 150만명 회원가입과 PC방 점유율 RPG 1위(전체 4위)를 기록하였으며, 10만 명에 육박하는 최고 동시접속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2016년 3월 북미/유럽에서 게임을 출시하면서 패키지 판매가 성공을 거두었으며, 한 달동안 유료 가입자 40만 명, 동시접속자 10만 명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 2017년 매출액 900억원 영업익 600억원

 

2018 8, 1년여간의 작업기간을 거쳐 '검은사막' 그래픽 사운드 리마스터 버전을 글로벌 지역에 동시 적용하였습니다.

리마스터 버전 글로벌 출시로 일본 지역의 경우 그랜드 오픈 이래 최고 복귀 유저 수를 기록

 

2018 11월에는 러시아 지역 서비스를 직접 서비스로 전환하였습니다

오픈 이용자 매출이 이상 성장하였습니다.

 

2019년 5월 한국 지역 서비스도 직접 서비스로 전환하였습니다.

직접서비스 당일 신규, 복귀 유저가 각각 10배, 15배 증가하는 각종 이용자 지표가 크게 상승하는 호평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안착하였습니다. : 2019년 매출액 5천억원, 영업익 1,500억원

 

2020년 4월 일본 지역 서비스를 직접 서비스로 전환하였습니다

직접서비스 전환 이후 신규, 복귀 유저가 211%, 89% 증가하는 러시아, 한국 직접 서비스 전환에 이은 번째 직접 서비스도 성공적으로 안착하였습니다. : 2020년 매출액 4,800억원, 영업익 1,600억원

 

2021 2 북미/유럽 지역 직접 서비스로 전환하였습니다.

북미/유럽지역은 '검은사막' 최대 매출처로서 직접 서비스 전환에 따른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지역입니다.

 

 

 

2018 2 '검은사막 모바일' 통해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사전예약자 500만명, 정식 출시 이후 5시간 만에 양대 마켓 누적 다운로드 100 돌파 기록

: 2018년 매출액 4천억원, 영업이익 1,600억원

 

2018 8월에는 대만 시장에 '검은사막 모바일' 출시하였습니다

사전 예약자 수는 대만역대 최대인 279만명 달성하였으며,

 

2019 2 일본 시장에 직접 서비스 방식으로 '검은사막 모바일' 출시하였습니다.

현지 사전 마케팅과 게임 완성도로 주목을 받으며 사전 예약자 150만명 돌파하였으며,

출시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인기 순위 매출 순위 상위권을 유지하는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하였습니다

 

2019 12월에는 북미/유럽 아시아 지역 150 개국 대상으로

사전예약에서 별다른 마케팅 없이 사전 예약자 450만명 돌파하였으며,

사전 다운로드에서 양대 마켓 북미 인기 1(롤플레잉 부문), 태국, 싱가포르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도 양대 마켓 인기 1위에 오르는 글로벌 유저들의 기대감을 확인할 있었습니다

 

 

 

  신규사업 등의 내용

1) 해외 서비스 지역 확장

가) '검은사막 IP' 중국 서비스

당사는 중국 게임 시장 서비스 확장을 위해 현지 파트너사들과 협업을 진행하며 '검은사막', '검은사막 모바일'의 중국 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먼저, 당사는 2021년 6월 28일 중국으로부터 '검은사막 모바일'의 판호를 발급 받아, 현지 파트너사들과 협업을 진행하며 중국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갖춰나가고 있습니다.

'검은사막 모바일'이 중국 최대의 게임 사이트인 '17173'에서 모바일 게임 기대 순위 3위에 오른는 등 기대작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출시 이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EVE Echoes' 중국 서비스

당사의 종속회사인 CCP ehf.와 넷이즈가 공동 개발한 'EVE Echoes'는 2021년 8월 5일 중국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사전 예약자 수는 590만명을 돌파하였으며, 출시 첫 주 애플 앱스토어 인기 순위 및 다운로드 순위 상위권에 랭크되는 등 성공적으로 중국 시장에 안착하였습니다.

 

 

2) 신작 개발

가) 붉은사막(Crimson Desert)

'G-STAR 2019' 에서 진행한 당사 신작 발표회를 통해 처음 공개된 뒤, 2020년 12월11일 '더 게임 어워드(The Game Awards)를 통해 '붉은사막'의 실제 게임 플레이로 제작한 트레일러를 최초 공개하였으며,

공개 후 3일만에 유튜브 조회수 200만을 돌파하는 등 '붉은사막'에 대한 글로벌 유저 및 매체의 높은 관심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당사의 차세대 엔진 기반의 신작 '붉은사막'은 싱글 플레이와 온라인 플레이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콘솔, PC 플랫폼의 글로벌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습니다.

 

나) 도깨비(DokeV)

신작 '도깨비'는 사람들의 꿈에서 힘을 얻고 성장하는 도깨비를 찾아 모험을 떠나는 수집형 오픈월드 MMO 게임입니다.

'G-STAR 2019' 에서 진행한 당사 신작 발표회를 통해 처음 공개된 뒤 전 세계 유저들로부터 차별화된 게임성과 K팝 스타일의 음악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차세대 엔진 기반의 신작 '도깨비'는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당사의 개발력을 한층 더 강화시킨 게임으로서 콘솔, PC 플랫폼의 글로벌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에있습니다.

 

다) 플랜8(PLAN 8)

'플랜8'은 현 시대를 바탕으로 한 사실적인 그래픽 표현과 스타일리쉬한 액션이 돋보이는 오픈월드 기반의 엑소수트 MMO 슈터(Exosuit MMO Shooter) 게임입니다.

'G-STAR 2019' 에서 진행한 당사 신작 발표회를 통해 처음 공개된 뒤 새로운 스타일의 슈팅 장르를 기대하는 전 세계 유저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차세대 엔진 기반의 신작 '플랜8'은 당사의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슈팅 장르라는 새로운 게임에 MMO적 요소를 반영한 독창적인 장르로서 콘솔, PC 플랫폼의 글로벌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습니다.

 

 

리포트

이베스트(8.13)

2Q21 실적 부진 자체는 예상되었던 부분이다. 검은사막 모바일 부진 지속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Q21은 자사주 보너스 지급 100억원 등 대규모 일회성 인건비가 발생하는 시기였기 때문이다. 2Q21 영업실적이 당사 전망치에 크게 미달한 것은 검은사막 PC 매출이 북미/유럽 직접 서비스 전환 효과가 예상보다 커 당사 전망치를 상당수준 초과했음에도 검은사막 모바일 매출 감소폭이 예상치를 훨씬 초과했기 때문이다

 

검은사막 PC 북미/유럽의 직접 서비스 전환 효과에 따른 매출 증가세 지속, 8/5 론칭한 이브 에코스 중국의 신규 매출 기여 등으로 매출은 증가하는 가운데

 

1) 붉은사막 론칭일정 조정 우려,

2) 중국 정부의 청소년 보호 관련 게임 규제 강화,

3) 2Q21 실적부진 우려 등으로

전고점대비 상당수준 조정을 거쳤다.(금일 종가 68,100원은 전고점 대비 19% 조정)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 론칭은 연내 단행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바, 동사는 연말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 론칭 관련 승부주라 판단한다

 

검은사막 PC 중국 판호 획득 가능성이 충분한 상황이라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원은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은 론칭일정을 12월로 가정하여 추정에 반영하고 있고, 검은사막 PC 중국은 아직 판호 획득 전이라 추정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 검은사막 PC 중국이라는 막강한 기대일정를 새롭게 확보함에 따라 붉은사막은 컨텐츠 보강 등 게임성을 더 강화한 후 출시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었다.

물론, 붉은사막 글로벌 론칭도 내년 내에는 단행될 것으로 예상하며 본연구원은 론칭 일정을 3Q22로 가정하여 추정에 반영하고 있다.

검사 모바일 중국 퍼블리셔 파트너는 사측에서 공식발표한 것은 아니나 시장에선 일찌감치 텐센트로 추정하고 있었음(판호 획득 주체는 아이드림스카이인데 아이드림스카이는 텐센트가 투자한 회사)

 

기술적인 준비는 완료된 상황이라 연내(올해말) 론칭 가능성 크다고 판단

중국 모바일게임 일평균 매출은 1위 100억원, 5위 50-60억원, 10위 20억원 정도임을 감안하면 검사 모바일 중국은 첫 분기 Top 5 진입과 함께 일평균 매출은 50억원 내외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

(7.12) 검사 모바일 중국은 첫 분기 Top 5 진입과 함께 일평균 매출은 30억원 내외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

(5.13) 도깨비는 우수한 그래픽과 렌더링 기술(2차원 화상을 3차원 화상으로 만드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메타버스류 게임 / 검은사막이 중세를 배경으로 한 판타지 MMO로서 게임 외적 요소는 거의 없는 반면

도깨비는 현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실과 가상현실을 접목한 메타버스류 게임으로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및 가상공간에서의 활동 등 게임 외적인 재미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

 

한화(08.13)

펄어비스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885억 원, 영업손실 60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대폭 하회했다.

검은사막 모바일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42% 감소한 것이 이익 부진의 원인이다.

자연감소 추세를 나타내던 검은사막 모바일 매출은 전지역에서 감소세가 가속화됐다.

다만, PC 매출액은 북미·유럽 지역의 자체 퍼블리싱 전환 효과로 인해 전분기 대비 10% 증가하면서 전사 매출 내 비중이 65%까지 확대됐다.

인건비는 전분기 대비 26% 증가했는데, 인센티브 관련 일회성 비용 100억 원이 반영됐다.

일회성 비용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큰매출 하락세로 영업적자를 기록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3분기 모멘텀 부재, 성공적인 중국 서비스 출시가 관건

우리는 동사의 3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893억 원과 영업이익 43억 원을 전망한다.

단기적으로 실적 반등을 크게 견인할 만한 요인은 없는 상황이다.

검은사막 모바일 매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어 차기작 출시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내 출시 예정이었던 <붉은사막>은 재택근무 증가 영향으로 인해 내년으로 연기됐다.

올해 판호를 발급받은 검은사막모바일은 현지 퍼블리셔와 현지화 작업을 통해 4분기 출시될 예정이다.

중국 내 검은사막 IP에 대한 기대감을 감안해 우리는 출시 초기 40억 원의 일매출을 가정했다.

 

 

목표주가 9만 원으로 하향하고 투자의견 BUY 유지

예상보다 부진한 검은사막 모바일 매출 감소세를 반영해 올해 매출액 전망치를 기존 대비 4% 하향했다.

동사의 밸류에이션은 내년 예상실적 기준 PER 29배로

연내 중국 시장 진출이라는 모멘텀이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내년<붉은사막> 출시 전까지 단일 IP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를 감안하면, 주가 반등은 중국 검은사막 모바일 흥행에 달려있다고 판단된다.

 

 

메리츠(5.13)

2022년 이후 퀀텀점프 기대되나

2022년 펄어비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894억원, 3,088억원으로 올해 대비 각각 59.4%, 153.6% 증가하며 퀀텀점프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올해말‘붉은 사막’을 오픈을 시작으로 ‘도깨비’ 등 신규 게임 상용화까지 아직 6개월~1년여 시간이 남아있다는 점, 밸류에이션은 21E PER 40배 수준이라는 점 등으로 인해 조정시 매수 관점이 바람직하다.

 

2분기부터 이연 매출 온전히 인식되면서 점점 더 좋은 성과 발생할 것

 

‘도깨비’는 메타버스 게임이라고 하셨는데 자세한 설명?

함께 게임 즐기는 요소는 물론 실제 지역물에서 현실과 가상 넘나드는 경험하실 수 있음.

메타버스 게임은 일시적 유행 이 아닌 기술 발전과 함께 유저 니즈 반영되어 향후 고성장 예상됨

 

 

 

 

 

SK(5.12)

단기 실적보다는 대작 공개로 인한 기대감 반영 가능성에 주목 필요하다는 의견 유지

올해 콘솔/PC AAA 급 대작 붉은사막, 도깨비 모두 공개되며 기대감 점차 증가할 전망

목표주가 82,000 원 유지. 목표주가는 ‘22년 예상 지배주주순이익(2,248억원)에 Target PER 24.1 배 적용한 수치.

MMORPG, 메타버스 게임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탑 티어 콘솔 게임 개발사로 발돋움할 가능성 높아 프리미엄 부여 합당하다 판단

 

 

 

 

 

뉴스

2021/08/26        17:08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펄어비스        인포스탁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용한 신작 '도깨비' 트레일러, 게임스컴2021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 공개 소식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동사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구현한 도깨비(몬스터) 수집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CCOWAA) 게임 '도깨비'의 최신 영상을 세계 3대 게임쇼 독일 '게임스컴 2021'의 개막 행사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ONL)'에서 공개한 것으로 알려짐.

도깨비의 그래픽은 동사가 자체 개발한 신형 게임 엔진으로 만들어졌으며, 마인크래프트나 로블록스, 네이버 제페토 등 글로벌 인지도가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대부분 조악한 그래픽을 갖고 있는 것과 달리 유려한 디자인과 완성도 높은 그래픽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2021/08/15        18:27        “게임주, 신작이 유일한 반등 열쇠”        펄어비스        파이낸셜

게임주의 부진은 이달 초 제기된 중국정부의 게임 규제 우려에 더해

최근 발표된 국내 게임기업들의 2·4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2021/08/03        15:51        [특징주] 中 "게임은 정신적 아편"…국내 게임주도 하락세(종합)        펄어비스        연합뉴스

신문은 온라인 게임이 "전자 마약"이라고 비판하면서 많은 청소년이 온라인 게임에 중독됐고 이는 그들의 성장에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부연했다.

 

 

2021/07/30        09:19        [특징주]펄어비스, '붉은사막' 출시 연기에 4%대↓        펄어비스        이데일리

신한금융투자 등 증권사는 재택근무 연장에 따른 붉은사막 출시 연기를 예상하기도 했다. 펄어비스는 붉은사막을가 검은사막의 흥행 바통을 이을 플래그십 타이틀로 소개한 바 있다.

 

 

2021/07/21        10:38        [특징주]펄어비스, '붉은 사막' 연기 가능성에 약세        펄어비스        이데일리

이날 삼성증권은 펄어비스에 대해 ‘붉은 사막’ 출시가 연내에서 내년으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 주가 상승 여력이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신작 출시 지연으로 실적개선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2021/07/20        15:36        [0720오후특징] 웅진씽크빅-네이버클라우드, 합작법인 설립 추진 소식 외 눈에 띄는 종목들        펄어비스        인포스탁

펄어비스가 검은사막 중국 출시 기대감 등에 상승했다.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검은사막 판호 발급 이후 주가는 31.5% 상승했으나 부담스럽지는 않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검은사막은 판호 발급 전부터 현지화 작업을 통해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후에는 최대 기대작 붉은사막 출시가 예정되어 모멘텀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021/07/01        09:30        [특징주] 펄어비스, 11% 강세...'검은사막 모바일' 中 판호 발급 효과        펄어비스        서울경제

펄어비스의 ‘검은사막 모바일’이 중국 서비스를 위한 판호 발급에 성공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판호는 중국 내 게임 서비스를 위한 일종의 허가증이다. 지난 28일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검은사막 모바일’의 외자판호 발급을 승인했다.

장기간 기대순위가 최상위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며 론칭 초반 중국 모바일 게임 매출순위 탑5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021/04/16        09:06        [특징주] 펄어비스, 액면분할 첫 거래일 강세        펄어비스        한국경제TV

펄어비스는 주식 액면가를 500원에서 100원으로 쪼개는 분할(1주→5주)을 마치고 이날 거래를 재개했다.

 

 

2021/02/16        14:37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펄어비스        인포스탁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속 해외매출 비중 상승 및 붉은사막 기대감 등에 강세

20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56.16억원(전년동기대비 -13.55%), 영업이익 199.76억원(전년동기대비 -29.89%), 순손실 4.7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20년 연결기준 매출액 4,887.69억원(전년대비 -8.8%), 영업이익 1,572.94억원(전년대비 +4.4%), 순이익 992.53억원(전년대비 -37.0%).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해 해외 매출 비중이 77%로, 전년 대비 6% 증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였다고 설명. 아울러 올해는 검은사막 북미·유럽 서비스의 성공적 이관과 붉은사막 출시 준비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힘.

 

 

2021/01/27        10:47        [특징주]엔씨소프트·넷마블·펄어비스 급등…계속되는 게임株 강세        펄어비스        헤럴드경제

펄어비스는 최근 텐센트가 펄어비스의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크게 오른 것으로 보인다.

펄어비스 측은 내부 검토를 거쳐 거절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진만 SK증권 연구원은 "펄어비스는 카카오게임즈와 검은사막 PC 버전의 북미 및 유럽 퍼블리싱 계약이 종료되면 직접 퍼블리싱에 나설 계획"이라며

 "붉은사막 판매량을 올해 200만장, 내년 220만장으로 추정하며 4분기 이후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2021/01/22        10:12        [특징주]텐센트 韓 게임업체 인수 고려?…게임株 급등        펄어비스        이데일리

외신 보도를 통해 텐센트가 수십억달러 규모의 게임사 인수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대상은 대규모 게임사나 글로벌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기업으로, 미국 또는 한국 게임업체가 후보로 꼽히고 있다.

텐센트는 게임업체 인수를 통해 최근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2020/12/14        14:54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펄어비스        인포스탁

붉은사막 흥행 기대감 등에 강세

KTB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신작 붉은사막이 글로벌 트리플 A급 게임으로 명확하게 입지를 구축했다고 밝힘. 붉은사막 인게임 유튜브 주요 영상 합산 기준 3일만에 200만뷰 수준을 달성했으며, 주요 점검포인트에서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유저 리뷰를 확보했다고 밝힘.

아울러, 검은사막의 북미/유럽 지역 자체 서비스 전환에 따른 실적 성장도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게임 업종 Top pick을 지속 제시했으며, 목표주가도 상향 조정함.

투자의견 : STRONG BUY[유지], 목표주가 : 360,000원 → 400,000원[상향]

 

 

2020/03/13        11:21        [특징주] 펄어비스, 중국시장 호재…코스닥 100위권서 나홀로 '상승'        펄어비스        뉴스핌

펄어비스는 지난 2018년 9월 CCP게임즈를 약 2524억원에 인수했으며, 주식 100%를 인수해 경영권을 확보한 상태다.

펄어비스가 CCP게임즈를 인수하기 전인 지난 2017년 기준 '이브차이나'가 인식했던 이브온라인의 중국 매출은 연간 21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2020/01/28        11:13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펄어비스        인포스탁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323억원(-1.6% QoQ, +33.1% YoY), 319억원(-19.3% QoQ, +66.6% YoY)으로 컨센서스(매출액 1,414억원, 영업이익 415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검은 사막M의 매출 감소에 기인한다며, 국내 경쟁작 출시 영향 및 일본 매출 하향세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출시에도 불구하고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이고 글로벌 출시 마케팅 비용 반영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주요 기대 신작 출시 일정을 올해 4분기 이후로 이연 반영하면서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36% 낮췄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 → 230,000원[하향]

 

 

2020/01/23        14:47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펄어비스        인포스탁

검은사막, 북미·유럽서 "2020년 최고의 MMORPG" 선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150여개국 1,000만명이 즐기고 있는 검은사막이 북미·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2020년 최고의 MMORPG'로 선정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검은사막은 강렬한 전투와 모험이 펼쳐지는 오픈형 MMORPG"라며 "꾸준한 콘텐츠 업데이트와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글로벌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설명.

반응형

댓글